DB/정의

Data Base 기초 개념 공부

너굴너굴울어봐 2020. 9. 28. 03:03
반응형

 

 

코딩을 하다 보니 다양한 퍼포먼스를 구현하고자 할 때,

 

많은 양의 데이터를 사용해야 하는데 DB를 이용하지 않고 하려면

 

이 모든 데이터를 RAM에 올려놓고 사용해야한다..

 

정말 낭비의 극치인 듯 하다..

 

따라서 코딩 공부를 하다가 자연스럽게 필요에 의하여 DB를 접하게 되었다.

 

하나도 모르는 상태로 시작하면서 공부한 내용을 포스팅하면서 다시 한 번 정리를 해볼까 한다.

 

흔히 사용하는 Oracle DB, MySQL DB(현재는 Oracle에 먹힌 듯 하다..)가

 

RDBMS(관계형 데이터베이스)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기본 구조부터 공부해보자.

 

대 주제인 데이터베이스는 무엇인가, 스키마는 무엇인가 부터 가야겠지만,

 

실재로 많은 사용자(Operator)들은 관리자(Administrator)가 아닌 이상 건드릴 수도,

 

구조를 알 필요도 없기 때문에 이용하는 정도의 레벨에서 필요한 개념만 훑고 지나가고자 한다.

 

우선 Table을 알아야 사용하기 때문에 Column과 Row 에 대해서 알아보자.

 

쉽게 생각하면 하드디스크라고 생각하거나, 엑셀 파일을 여러개 갖고 있다고 생각하면 개념이 좀 쉽게 잡힌다.

 

Table은 엑셀로 이해하자면 하나의 표와 같다.

 

맨 위의 각 항목의 이름들이 Column이며, 밑으로 입력되는 Data의 모임이 Row가 된다

 

Row는 말 그대로 행을 뜻하며(가로 줄) 단일 행에는 각 컬럼에 입력될 수 있는 기준에 맞게 값들이 들어간다.

 

예를 들어 emp(부서원) , Dept(부서), Salgrade(급여) 컬럼이 있을 때 {홍길동,영업부,2000000} 이런 식으로 조회된다.

 

Column의 경우 열을 뜻하며(세로 줄) emp, dept, salgrade 와 같이 특정 목적에 맞게 값을 넣을 수 있는 요소를 뜻한다.

 

예를 들어 emp Column만을 조회했을 경우 {홍길동,김철수,김영희,장동건...} 등으로 조회된다. 

 

이후 포스팅은 기본 문법에 대해서 공부해보자.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