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TTP Protocol Client 요청 GET, POST 방식

2020. 9. 14. 17:37PC Program/Debug

반응형

프로젝트 개발을 하면서 필요에 의해 CRUD를 구현하는데, 사용처가 분명하게 갈리는 듯 하다.

우선, 게시물 조회에 관한 내용은 GET으로 처리하고, 글 생성, 글 수정, 글 삭제 등 이 POST로 처리하는데,

F5를 눌러 새로고침을 했을 때, 같은 결과가 나오는 경우에 한해서 GET으로 처리하고,

같은 결과가 나오지 않을 경우가 존재할 때 POST를 쓰는 것 같다.

간단하게 초보자가 알아먹는 정도로만 조사하여 끄적여 본다.

(전문가가 아니므로 큰 그림만 보자..)

 

  • GET 방식

    주로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올 때 사용한다.

    URL(https://aaaa.bbb.com/ccc)?param1=1&param2=2&param3=3 형태로 제공된다.

    예시 -> www.google.com/search?q=네이버  

    ? 이후의 값들은 서버에서 QUERY_STRING을 통해 '속성=값' 형태로 전달된다.

    여러개의 속성을 전달할 때는 '&' 문자를 사용하여 연결한다.

    URL 노출로 인하여 보안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.

    데이터를 Body에 담지 않기 때문에 캐싱을 통한 처리 속도가 빠르다

    (서버에 최대 240Byte 까지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.)

 

 

 

  • POST 방식

   주로 서버에 데이터를 올릴 때 사용한다.

   데이터를 Body 부분에 담아서 보낸다. (서버에 올릴 수 있는 데이터 크기의 제한이 없다.)

   URL에 매개변수가 표현되지 않는다. (URL에만 표시가 안될 뿐이며 크롬 개발자 도구 등을 통해서 볼 수 있다)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

'PC Program > Debu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Mybatis Where절 쓰기  (0) 2020.08.18
Spring Legacy log4jdbc 설정 중 오류...ㅠ  (0) 2020.08.1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