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LC Program/MITSUBISHI(4)
-
[PLC초보] 미쯔비시 PLC R과 ZR의 차이점
오랫만에 끄적여봅니다. 실무에서 신입 직원들을 가르치다 보니, 본인이 매뉴얼을 자세히 보지 않았거나, 선배가 제대로 설명해주지 않으면 경력이 쌓여도 R=ZR 이라는 어처구니 없는 대답을 내놓는 경우가 많아서 간단하게 기술하고자 합니다. 우선 Device의 최대 크기부터가 다릅니다. R은 R0 ~ R32767 (최대 32K = 1024 * 32) 만큼의 고정 크기를 갖고 있습니다. ZR은 ZR0 ~ File Register 용량 까지의 변동 크기를 갖고 있습니다. 여기서부터 감이오죠? ZR은 용량 크기 만큼 쭉 연결해서 적는거고. R은 32K 씩 끊어서 가겠죠? 그럼 어떻게 끊어서 가느냐 바로 파일레지스터 블록 전환 명령어를 통해서 전환이 가능해집니다. 즉 R SET No가 0 일 때만 ZR0 와 R0가 ..
2024.03.09 -
[PLC초보] 조건식, 스텝식 이해하기
실무에서 한참 찌들어 있다가 오랜만에 끄적입니다. 고객사로부터 프로그램 개발 요청사항으로 조건식으로 해주세요, 혹은 스텝식으로 해주세요. 위와 같은 소리를 듣는 경우가 있는데, 직접 경험해 보지 않더라도 이 글을 이해하고 나면 대답할 수 있도록 설명을 해보고자 합니다. 인터넷 찾아보면 무수히 많은 내용들이 있지만 예제가 그닥 없는 듯 하여.. 후배 사원 양성차 직접 작성하여 예를 들어보겠습니다. 요즘은 R 시리즈가 대세죠. Q 시리즈도 마찬가지니 R 시리즈로 예를 들어도 마찬가지입니다 설명을 시작하기에 앞서 많은 PLC 고수분들께서 보셨을 때 아니다 싶으면 답글 부탁드립니다 저도 배우면서 발전하는거니까요 [조건식] 조건식은 말 그대로 Actuator의 기동을 조건식으로 작성한 것입니다. 조건식의 형태는 ..
2023.01.04 -
[PLC초보] PLC Slot 별, CC-LINK 선두 IO 계산하는 방법
PLC 초보에게는 Card Slot 별 점수 계산, CC LINK 점수 계산하는게 도통 이해하기 어렵다. 처음에 나도 마찬가지로 이게 무슨 소리인가 했었지만 이해하고 나니 이것 거의 공식처럼 쓰인다. 우선, 전부 16진수로 표기한다는 것을 깔고 가야한다. 1점(Point)은 1 Bit를 의미한다. 그러면 당연히 16점(Point)은 16 Bit를 의미할 것이다. 그러면, Slot 점수 할당할 때 최소 단위를 살펴 보면 0, 16점(Point) 부터이다. PLC Parameter에서 System Tap에 보면 공슬롯의 기본 할당을 몇 포인트로 할 것인가 하는 항목이 있는데, 이부분을 32로 해 놓으면 PLC BASE의 Empty 선택했을 때 32점으로 할당이 되어진다. 원래 Default 값은 16이다. ..
2021.06.09 -
PLC - Device 정리
매뉴얼보다 좋은 게 있겠냐만은 그래도 좀 더 쉽게 사설을 붙여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기본적인 개념부터.. Device Point에 nK를 넣었을 때 몇까지 사용 가능한지 간단하게 수식 만든 파일 첨부합니다. 위의 PLC Parameter 에서 Device Tab을 보면 이름이 조금씩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Relay라 지칭하는 Device 는 대부분 BIT Device이며 [0] 또는 [1]의 값만 가지는 데이터 단위입니다. Register라 지칭하는 Device 는 WORD Device이며 16개의 BIT가 모여 1 WORD를 이루는 데이터 단위입니다. 2진수로 1111 1111 1111 1111 // 16 진수로 FFFF // 10 진수로 65535까지 표현이 가능합니다. 즉 갯수로는 6..
2020.10.2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