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1. 6. 9. 19:33ㆍPLC Program/MITSUBISHI
PLC 초보에게는 Card Slot 별 점수 계산, CC LINK 점수 계산하는게 도통 이해하기 어렵다.
처음에 나도 마찬가지로 이게 무슨 소리인가 했었지만 이해하고 나니 이것 거의 공식처럼 쓰인다.
우선, 전부 16진수로 표기한다는 것을 깔고 가야한다.
1점(Point)은 1 Bit를 의미한다.
그러면 당연히 16점(Point)은 16 Bit를 의미할 것이다.
그러면, Slot 점수 할당할 때 최소 단위를 살펴 보면 0, 16점(Point) 부터이다.
PLC Parameter에서 System Tap에 보면 공슬롯의 기본 할당을 몇 포인트로 할 것인가 하는 항목이 있는데,
이부분을 32로 해 놓으면 PLC BASE의 Empty 선택했을 때 32점으로 할당이 되어진다.
원래 Default 값은 16이다.
이는 추후 빈 자리에 새로운 카드를 꽂았을 때 선두 IO를 뒷 번호로 별도 할당한다거나,
뒤에 카드들의 선두 IO까지 변경해야하는 일이 없이 가기 위한 사전 조치로 미리 할당한다고 볼 수 있다.
다시, 풀어서 보면 카드 한 장을 꽂았을 때 32점 또는 64점으로 설정이 가능하다는 말이다.
그리고 실재 카드의 매뉴얼을 보면 32점에 대응하는 입출력 IO의 역할이 고정되어 있다.
즉 내가 Base 1번을 0000(32점)으로 잡고, 2번을 0100(32점)으로 잡고 3번을 0120(32점)으로 잡았다고 가정하고
같은 종류의 카드(QJ71C24N-R2)를 꽂았다고 치자.
시리얼 카드의 입출력 일람은 아래와 같다.
여기서 X1E를 보면 Q시리즈 C24 레디 ON : 액세스 가능 이라는 항목이 있다.
또한 채널을 6개 전부 사용한다고 보고, 1번카드부터 1,2채널 / 2번카드 3,4 채널 / 3번카드 5,6채널이라고 했을 때,
각 채널에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 초기화하는 IO가 YE, YF 임을 알 수 있다.
위에서 설명한 것을 1,2,3번 카드 선두 IO에 대응하여 확인하면 아래와 같다.
1번 카드 : 모듈 레디 X001E (0000 + 1E) / 1번 채널 에러 초기화 요구 Y000E , 2번 채널 에러 초기화 요구 Y000F
2번 카드 : 모듈 레디 X011E (0100 + 1E) / 3번 채널 에러 초기화 요구 Y010E , 4번 채널 에러 초기화 요구 Y010F
3번 카드 : 모듈 레디 X013E (0120 + 1E) / 5번 채널 에러 초기화 요구 Y012E , 6번 채널 에러 초기화 요구 Y012F
이것을 인지하고 카드를 꽂을 때 선두 IO를 정하고, 몇 점짜리 카드인지 매뉴얼에서 확인해서 설정해야 한다.
CC LINK의 경우 연결되는 설비마다 점유 국수 및 점유Point가 상이하므로 선두 IO가 어떻게 계산되는지
계산할 수 없으면 Program에서 사용할 수가 없다.
이를 돕기 위해 개인적으로 엑셀 수식을 이용하여 만든 시트를 공유하도록 하겠다.
자라나는 PLC 초보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면 좋겠다.
'PLC Program > MITSUBISHI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LC초보] 미쯔비시 PLC R과 ZR의 차이점 (1) | 2024.03.09 |
---|---|
[PLC초보] 조건식, 스텝식 이해하기 (0) | 2023.01.04 |
PLC - Device 정리 (0) | 2020.10.23 |